미분류

[오민석 칼럼] 문화에 애착을 가진 사람들의 공립문화시설

  다같이多가치 [오민석 칼럼] 문화에 애착을 가진 사람들의 공립문화시설     지역 문화의 진흥을 생각할 때, 지역에는 필요한 인재가 부족하다고 일컬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각 지역에 있는 인재를 찾아내어 활용하기 어렵다는 측면이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립문화시설의 관리와 운영 등을 모두 행정만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한경옥 칼럼] 인생의 새 장을 열다: 성인진로교육의 중요

  다같이多가치 [한경옥 칼럼] 인생의 새 장을 열다: 성인진로교육의 중요 사회 니즈와 개인 역량을 조화롭게 연결하는 과정과거의 자신과 작별하고 새로운 자아 만들어가는 여정다양한 채널로 네트워크 확장…예상치 못한 기회의 문 여는 열쇠성인들의 진로 전환은 사회 전반에 새로운 활력과 혁신 동력 인생의 중반, 우리는 종종 자신의 위치를 재점검한다. 과거의 선택들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길을 고민한다. 이 시기에 찾아오는

유네스코와 스포츠: 스포츠에서 여성과 소녀 대상 폭력 해결하기

  다같이多가치 유네스코와 스포츠: 스포츠에서 여성과 소녀 대상 폭력 해결하기 유네스코는 스포츠 정책을 개발 강화하고자 하는 회원국을 지원하거나 자문에 응하며 권고사항을 제공한다.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었던 2024년 하계 올림픽 이후 유네스코는 ‘유네스코와 2024 올림픽 경기(UNESCO and the Paris 2024 Olympic Games)’ 보고서를 출간했다. 이 보고서에서 여성 대상 폭력 근절 부분을 살펴본다. 스포츠에서 여성 및 소녀 대상

[홍순원 칼럼]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대안

  다같이多가치 [홍순원 칼럼] 기후변화와 애그테크       불안한 국제정세와 기후변화로 식량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외부적으로는 전쟁과 신냉전으로 곡물 가격이 인상되고 내부적으로는 기온 상승으로 농업 생산량이 감소하여 농식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또한 농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는 우리나라의 곡물 수입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곡물 자급률 최하위이며 세계 7위의 식량 수입국이기에 식량안보에 취약하다.

[홍순원 칼럼]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대안

  다같이多가치 [홍순원 칼럼]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대안       인플레이션의 장기화로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의 대표적인 현상은 물가는 상승하고 화폐가치는 하락하는 것이다. 그래서 국가는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 금리를 올려서 화폐가치를 상승시키고 물가가 안정되면 금리를 낮추어 생산과 소비를 활성화하게 된다. 하지만 지금은 지속되는 인플레이션과 팬데믹 이후 시장에 풀린 자금과 국가 채무의 증가로 효과적인

[오민석 칼럼] 주민이 주도하는 문화자원봉사활동

  다같이多가치 [오민석 칼럼] 주민이 주도하는 문화자원봉사활동     여러 지역에서 문화자원봉사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 문화자원봉사자로서 활동하고 싶지만 그 계기나 기회가 없다는 사람이 다수인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지역 주민들이 문화자원봉사자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지역의 문화예술활동을 활발하게 하려면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보다 지역 주민이 문화자원봉사자로서 참여하기 쉬운 구조를 만드는 것이지 않을까?

TOP